안녕하세요 피지컬 사이언스입니다.
비만 유전자에 대해 설명드려보겠습니다.
주변에 한 명씩은 이런 질문을 합니다.
" 진짜 적게 먹는데 자꾸 살이 쪄 "
" 적게 먹고 운동까지 열심히 하는데 오히려 살이 찌고 있어 "
" 너는 그렇게 많이 먹는데 어떻게 살이 안 쪄? "
등등
내 주변에 어떤 사람은 적게 먹는데 살이 찌고
많이 먹는데 살이 안 찌는 사람이 있습니다.
과연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비만 유전자에 대해 시작해 보겠습니다.
< 비만 유전자 너는 뭐니? >

비만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지만, 유전적인 요인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여러 유전자가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데, 그중 대표적인 비만 유전자의 일부는 아래와 같습니다.
■ FTO (Fat Mass and Obesity Associated gene) : FTO 유전자는 비만과 관련된 가장 잘 알려진 유전자 중 하나입니다. 이 유전자가 변이를 일으키면 비만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MC4R (Melanocortin 4 receptor gene) : MC4R 유전자는 식욕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유전자입니다. MC4R 변이는 비만과 관련된 식욕 조절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 POMC (Proopiomelanocortin gene) : POMC 유전자는 식욕 조절과 대사 조절에 관여하는 호르몬을 생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OMC 변이는 식욕 조절 문제를 일으키며, 이는 비만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 LEPR (Leptin receptor gene) : LEPR 유전자는 체중과 식욕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렙틴의 수용체를 생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LEPR 변이는 렙틴 신호에 대한 반응성을 감소시켜 체중 증가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 ADIPOQ (Adiponectin gene) : ADIPOQ 유전자는 체지방 조절에 관여하는 호르몬인 아디포넥틴을 생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ADIPOQ 변이는 아디포넥틴 수치를 감소시켜 비만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렇게 대표적인 4가지의 유전자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비만인 분들에게 가장 영향을 주는 FTO유전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비만 유전자 FTO >
FTO 유전자는 비만과 관련된 가장 잘 알려진 유전자 중 하나입니다. FTO 유전자의 rs9939609 유전자 변이는 TT, TA, AA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이 중 AA 유전자형은 비만 위험성이 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AA 유전자형을 가진 사람들은 TA나 TT 유전자형을 가진 사람들에 비해 체지방의 축적이 더 쉽게 일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AA 유전자형을 가진 사람들이 음식 섭취에 대한 뇌의 보상 체계가 다른 유전자형을 가진 사람들에 비해 약화되어 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FTO 유전자의 주요 역할은 식욕 조절과 대사 조절에 있습니다. FTO 유전자 변이는 뇌에서 음식 섭취를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생성하는 능력을 감소시키고, 대사를 조절하는 지질 대사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는 체중 증가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 AA 유전자형 : 비만 위험성이 가장 높은 유전자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TA 유전자형 : 중간 비만 위험성을 가진 유전자형입니다.
■ TT 유전자형 : 비만 위험성이 가장 낮은 유전자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FTO AA 유전자와 탄수화물
FTO AA 유전자를 가진 사람들은 탄수화물 대사가 느리게 이루어집니다. 이는 탄수화물을 에너지로 대사 하는 과정에서 FTO 유전자 변이로 인해 불균형한 대사 작용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FTO AA 유전자가 많은 사람들은 탄수화물이 에너지로 변환되는 과정이 길어서 유전자 변이가 일어날 시간이 많다는 겁니다. 그러므로 적게 먹어도 살이 찌는 이유입니다.
※ FTO TT 유전자와 탄수화물
FTO TT 유전자는 FTO AA 유전자와 정반대의 유전자입니다. FTO TT 유전자는 탄수화물의 대사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이는 FTO 유전자 변이가 적어 유전자 변이가 거의 일어나지 않습니다.
즉, FTO AA와 반대로 탄수화물이 에너지로 변환되는 과정이 짧기 때문에 유전자 변이가 일어날 시간이 없어서 많이 먹어도 살이 잘 찌지 않습니다.
< 비만 유전자의 관리 >
그럼 내가 FTO TT 또는 FTO AA 유전자라는 것을 어떻게 확인을 해야 할까요? 정확한 방법은 유전자 검사를 통해 알 수 있으며, 간단하게는 적게 먹는데 살이 찌면 약 70%는 FTO AA / 많이 먹는데 살이 잘 안 찌면 FTO TT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비만 유전자의 관리 방법은 우리도 다 알고 있습니다. 실행이 귀찮고 힘들어서 안하고 있을 뿐이죠.. 이론은 간단 합니다. 영양 잡힌 식이 방법과 운동을 해주셔야 합니다. 이건 필수입니다. FTO AA 유전자는 위에서 보셨듯이 탄수화물이 에너지로 변환되는 과정이 늦어서 유전자 변형이 일어나기 쉬운 환경이고 지방으로 축적되기 아주 쉽습니다. 그러니 이러한 유전자는 탄수화물을 조금만 줄여도 현기증이 일어나고 혈당이 빠르게 떨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나 자신이 정말 다이어트를 하기 마음 먹었다면 이러한 힘든 과정을 거쳐서 이겨내야 합니다.
비만 유전자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고 했는데
길어진것 같습니다. 그래도 중요한 글이니 한번씩은 꼭 정독 해주셨으면 합니다.
오늘도 다들 고생많으셨습니다.
'건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콜레스테롤 우리 신체에 미치는 영향 ( Feat. 콜레스테롤에 좋은 음식 ) (0) | 2023.03.23 |
---|---|
지방간 이란? 지방간의 종류와 예방 방법 (2) | 2023.03.22 |
유방암의 증상 및 유방암 발생원인 생존율 해결책 (15) | 2023.03.17 |
<건강이야기>단백질의 소화 흡수 과정은 어떻게 될까? (0) | 2023.03.14 |
<영양이야기>탄수화물 중독에 걸리면 어떻게 될까? (0) | 2023.03.14 |
댓글